단독주택에서 생활하기 – 4

Posted by | 2015년 11월 24일 | CHAE IN HYE | No Comments

안녕하세요 단독주택에서 생활하기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황선호과장입니다.

회사가 설립된 지도 벌써 2년이나 대가고 진급도 하고 하던 일의 범위도 많아졌네요.

잡담은 여기까지 하고 이번에는 주차장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dfgssfdg

도심형 생활주택이 아닌 전원주택은 주로 외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대중교통만을 이용하기엔 벅찬 관계로 차량은 필수적인 요소이며 또한 도로나 길가에 주차하는 경우가 아닌 자신의 대지에 주차를 하게 되니 주차장은 단독주택에서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준공시에도 법적인 기준의 주차장을 설치해야만 됩니다.

 

법적인 기준에서의  주차장의 설치기준은 주택의 면적 15평~45평(50m2~150m2)기준 1대, 초과 시 100m2당 1대씩 더 늘어나게 됩니다. 예를 들면 주택이 면적이 160m2이면 주차장은 2대가 설치되어야 합니다.

 

주차장의 규격은 2.3m×5m가 기준이며 여유가 있으시다면 2.5m×5m로 계획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장애인 주차장은 휠체어가 지나갈 수 있는 통로가 있어야 하니 3m×5m의 규격을 갖추는 것이 좋습니다.

 

그럼 본론으로 들어가 주차장의 종류와 바닥자재 선정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간단하게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크게 차고(실내주차장)와 실외주차장으로 나뉩니다. 실내주차장의 경우에는 건축설계 시에 미리 반영하여 콘크리트 박스를 만들어 계획하는 경우, 아니면 건물의 하부를 띄어 주차장 위에 집이 있는 경우가 실내 주차장에 속하게 됩니다. 이렇게 실내 주차장을 계획하게 되면 지붕이 있기 때문에 차량관리에 용이하고 편리하며, 주택의 디자인과 조화롭게 어울리게 됩니다. 하지만 가장 큰 단점은 금전적 비용이 그만큼 크다는 것입니다. 이 때문에 많은 건축주들은 실외주차장을 계획하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실외주차장의 경우 제일 문제되는 것은 바닥자재의 선정입니다.

실내의 경우에는 대부분 콘크리트에 각종페인트를 이용하여 코팅을 하게 되지만 외부의 경우에는 많은 바닥재들이 사용가능합니다.

 

1. 흙 or 모래

 

비가 많이 와도 진흙이 되지 않는 땅이라면, 가장 저렴하고 간편한 공사를 진행하시기에 적합한 공사입니다. 주차장의 윤곽은 와이어, 나일론 끈이나 벽돌에 흰 페인트를 칠해 윤곽선을 그리기만 하면 끝입니다.

 

2. 자갈

cx

차에서 내려 발에 흙을 묻히지 않을 분이시라면, 또한 저렴하지만 깔끔하게 마무리하고 싶으시다면 이 방법을 추천해드립니다.

바닥에 자갈을 깔고 위의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윤곽선을 그리면 되는 간단한 방법입니다. 여기에서 조금 더 확실하게 경우 바닥에 버림 콘크리트를 치고 자갈을 깔게 되면 내구성도 좋아지고 손실되는 자갈도 줄어들게 되며 흙물이 튀는 경우도 줄어들게 됩니다.

 

3. 잔디

hhgg

대부분 단독주택 조경을 진행 할 때에 나무를 심게 되고 잔디를 깔게 됩니다. 그것과 자연스럽게 어우러진 주차장을 계획 할 때, 많은 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공사를 진행하게 될 때 잔디로 주차장을 계획하곤 합니다. 그리고 부정형 판석이나 정형판석을 이용하여 사람이 걷는 동선에 깔아 놓게 되면 더욱더 자연스럽고 이용하시기에 편리합니다. 단점은 많은 사람들이 아시겠지만 잔디를 관리해주는 것입니다. 허나이는 단독주택에 생활하시는 재미이기도하며 당연히 할 일로 여겨지기도 합니다.

 

4.콘크리트

dsaf

신발에 흙을 묻히고 싶지 않은 경우나 깔끔한 것을 좋아하는 건축주의 경우에 콘크리트 바닥으로 주차장을 시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청소도 용이해서 관리도 편합니다.

하지만 나중에 크랙이 갈 경우도 있으니 콘크리트를 치기 전에 와이어 매쉬나 철근을 넣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그 위에 에폭시나 콘크리용 스테인으로 코팅하는 것이 조금 더 내구성이 좋아집니다.

 

5.블록

판교단독주택,주차장,편집14

우리가 보도를 걸을 때 사용되는 일반 보도블록부터 중간 중간 식재가 자랄 수 있는 식생 블록, 현무암 판석 등을 이용하기도 합니다. 콘크리트와 잔디의 중간 느낌을 일반 보도블록보다는 식생블럭을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내구성은 조금 떨어지지만 수리가 편하고 재시공이 간편한 것이 장점입니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HOME     CONTACT